본문 바로가기

현대시11

정호승 [고래를 위하여] 해설/해석/분석/정리 정호승 시인의 서시는 우리나라의 청년들이 꿈과 이상을 향해 힘차게 살아가기를 바라는 작가의 염원이 담겨 있는 작품입니다. 시에서 위와 같은 작가의 염원이 어떤 시어, 어떤 표현법으로 나타나는지를 중점으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작품 분석작품 해설1연에서 '푸른 바다'는 '고래'가 없으면 '푸른 바다'가 아니라고 합니다. 이때 '푸른 바다'는 청년들의 마음속을, '고래'는 꿈과 이상을 지닌 내적 자아를 의미합니다. 즉 청년들에게 꿈과 이상이 없다면 그들은 청년이라고 부를 수 없다는 화자의 생각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죠. 다시 말하면 청년으로서의 꿈과 이상을 향해 나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자의 생각을 '-으면, 아니지'의 통사 구조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4. 9. 15.
황지우 [너를 기다리는 동안] 해설/해석/분석/정리 황지우 시인의 '너를 기다리는 동안'은 기다림의 절실함과 만남의 의지에 대해 노래하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누군가를 기다리는 것에 대한, 어찌보면 우리 일상에서도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기다림의 대상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에 집중하며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이 시는 어떤 대상을 기다리는 화자의 태도 변화를 중점으로 시상이 전개됩니다. 1행에서 말하는 '너'는 기다림의 대상입니다. 2행에서 나오는 '나', 즉 화자는 기다림의 대상인 '너'가 오기로 한 자리에서 '너'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다림의 과정을 현재 시제로 표현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현재 일어나는 일을 보고 있는 것과 같은 생동감을 부여합니다. 기다리는.. 2024. 9. 15.
신동엽 [산에 언덕에] 해설/해석/분석/정리 신동엽 시인의 '산에 언덕에'는 4.19혁명에 의해 희생된 자들을 그리워하는 시인의 마음이 담겨 있는 작품입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시인의 그리움이 어떻게 표현되어있는지, 시인의 본질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무엇인지에 집중하여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1연에서 화자는 '그'의 부재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화사한 그의 꽃'이 '산에 언덕에' 피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이때 '지어이'는 '마땅히 그렇게  될 것'을 뜻하는 어미입니다. 이후 이 어미를 계속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그'의 부활을 간절히 소망하는 화자의 마음을 강조합니다. 2연도 1연과 같은 구성을 지닙니다.3연에서는 '그'에 대한 그리움을 지닌 존재인 '행인'이 등장합니다. '행인'은 화자의 객관적 대리인입니다... 2024. 9. 13.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 해설/해석/분석/정리 신동엽 시인의 '껍데기는 가라'는 진정하고 순수한 민족의 삶을 추구하고자 했던 시인의 생각이 작품입니다. 이 시는 역사적 배경이 많이 반영되어있기에 반영론적 관점에서 작품을 감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어떤 역사적 배경이 사용되었고, 시인의 생각하는 진정하고 순수한 민족의 삶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껍데기'는 속이 차있지 않은 겉면만을 의미합니다. 즉 '거짓, 허위' 등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외세'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연에서 말하는 '사월'은 4.19혁명을 의미합니다. 이때 화자는 껍데기는 가고 사월의 '알맹이'만 남으라고 명령합니다. '알맹이'는 '껍데기'와 반대되는 의미를 지닌 시어로 '진실, 순.. 2024. 9. 13.
신동엽 [봄은] 해설/해석/분석/정리 신동엽 시인의 '봄은'은 외부세력에 의해 분단되고 서로 싸우는 우리나라의 안타까운 현실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통일에 대한 시인의 생각이 자세히 드러나있기도 합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분단 현실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진정한 통일의 의미란 무엇인지에 중점을 두고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 '봄'은 진정한 통일과 화해의 시대를 의미합니다. 1연에서는 외세, 외부세력을 의미하는 '남녘, 북녘'에서는 '봄'이 오지 않는다고 하죠. 즉 외부 세력에 의한 통일은 진정한 통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를 '오지 않는다'라는 단정적 어조로 표현함으로써 자주적 통일에 대한 화자의 강한 의지와 소망을 표출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러한.. 2024. 9. 13.
윤동주 [참회록] 해설/해석/분석/정리 윤동주 시인의 참회록은 자아 성찰을 통해 순결성을 추구하고,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이 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됩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자의 모습과 생각이 어떻게 바뀌는 지, 어떤 매개체를 통해 화자가 자아 성찰을 하는지, 현실 극복 의지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등을 알아보는 것에 집중하여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앞서 말했듯이 이 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이 전개됩니다. 1연은 과거를 말하고 2연은 현재를 말하며, 3연은 미래를 말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간의 흐름을 통해 참회를 하고 자아 성찰을 하며, 미래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는 것이죠.1연은 일제에 의해 멸망한 나라의 국민으로서 느끼는 욕됨을 노래합니다.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2024.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