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아 대립2

윤동주 [쉽게 씌어진 시] 해설/해석/분석/정리 윤동주 시인의 쉽게 씌어진 시는 민족이 고통받고 있는 암울한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면서도 쉽게 시를 쓰고 있는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을 노래하는 작품입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화자가 자신이 느끼는 부끄러움을 어떤 시어를 통해 드러내고 있는지, 부끄러움을 양분 삼아 어떤 태도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지를 파악하며 시를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1연에서는 시적 화자가 있는 시간적 배경과 공간적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밤비'라는 시어를 통해 화자는 현재 비가 내리고 있는 밤에 있음을, 일본의 다다미방을 의미하는 '육첩방'이라는 시어를 통해 화자가 현재 일본에 거주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더 세밀하게 분석해보자면, '밤'이라는 시간적 배경과 '비'라는 시어가 주는 분위기를 통해 화자.. 2024. 8. 30.
윤동주 [또 다른 고향] 해설/해석/분석/정리 윤동주 시인의 또 다른 고향은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 자신이 사랑하던 고향을 잃어버린 화자가 이상적 세계를 꿈꾸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해나가고자 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 작품입니다. 이 시는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간의 갈등 구조로 시상이 전개됩니다. 아래의 작품 분석을 통해 시적 자아의 대립이 어떤 상징적 시어를 통해 나타나는지에 중점을 두고 감상해보시길 바랍니다.작품 분석작품 해설1연의 '고향'은 일제에 의해 상실된 공간입니다. 이곳에 돌아온 자아는 절망감을 느끼는 현실적 자아라고 볼 수 있겠죠. 그리고 상실된 공간에 '내 백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고 합니다. 이때 '백골' 또한 사회적/유한적 자아, 즉 현실적 자아라고 볼 수 있습니다. 2연에서는 상실된 고향 속의 어두운 방이 '우주.. 2024. 8. 30.